양주장흥 공공주택지구 입체적 마스터플랜 
지구경관계획 수립 설계공모 (참가작)

양주장흥 신도시는 고양시와 양주시의 경계부에 위치한 신도시로서 고양삼송 및 고양지축 지구 등과매우 인접해 있으며, 도시 완성시순환형으로 3개지구가 연결되게 된다. 단일 규모로 보면약7천세대 규모의 매우 작은신도시로 계획될 예정이지만 인근의 고양삼송, 고양지축 등과연결되어 새로운 시너지를 만들어낼수있는 다양한 잠재력을 가진 도시이다. 이러한 입지적 특성및자연환경을 고려한 미래도시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상지가 3개 지구 중 마지막 마스터피스로서의 역할을 기대하며 노고산과 공릉천, 4개의 도시 2개의 생활권, 3개의 마을을 잇는 메타시티를 제안하였다.
  Location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 일대
  Design
2024
  Client
LH
  Site Area
962,041.00㎡
  Team
BM도시건축사사무소
양주장흥-01.jpg
가까이에서 100%누리는 5분 도시
양주장흥-02.jpg
경계없이 스며드는 녹색 도시
양주장흥-03.jpg
소통의 문화가 흐르는 커뮤니티 도시
양주장흥-04.jpg
사람과 자연이 어우러진 열린 도시
양주장흥-메인조감.jpg
노고산과 공릉천, 4개의 도시, 2개의 생활권, 3개의 마을을 잇는 메타 밴드 (Meta Band)

노고산 변에 위치한 양주 장흥지구는 고양삼송, 지축지구 등 기 조성된 도시들과 인접해 있으며, 기존의 도시 및 자연환경이 서로 어우러질 수 있도록 통합 계획이 필요하다.
우리는 노고산과 공릉천으로 다양하게 열린 토지이용과 배치로 자연의 흐름과 조화되는 통합된 도시경관을 조성하였다.
또한 도시 전체를 가로지르는 3개의 Ring(수변가로, 생활가로, 에듀 그린웨이)과 수변부터 단지, 노고산 자락까지 이어주는 다양한 Link-way를 계획하여 유기적인 연결과 시너지가 발생되도록 하였다.
인근과 차별화 된 업무 및 수변 공간, 2개 생활권, 3개 마을의 각 중심부에 위치한 주민 소통 허브 계획으로 유기적인 도시 소통과 연계 활성화를 도모하였다.
양주장흥-중심부.jpg
다양한 일상 속 함께의 즐거움이 있는 메타 커뮤니티 (Meta Community)

공동체는 같은 장소와 공간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인간적인 관계로서 단순한 마주침 보다는 실제적 소통을 위한 TPO(Time, Place, Occasion)가 필요하다.
때문에 무미건조하게 비어있는 공간(space)을 양산하기보다 머무름과 행위를 만들 수 있는 장소(Place)들을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가로, 수변, 공원, 광장 등 양주장흥 지구만의 특성이 담긴 공간을 지원하는 프로그램과의 연계 계획으로 지속가능한 소통이 있는 도시로 만들고자 한다.
건축에 의한 공간들이 사람들의 행위를 유도하고 그 곳에서의 경험이 저마다의 기억의 장소로 새롭게 쌓여 가기를 바란다.
양주장흥-자족랜드마크.jpg
양주장흥-수변.jpg
양주장흥-진입경관.jpg
양주장흥-자연대응.jpg
양주장흥-서브조감.jpg